– 물가는 왜 오르거나 떨어질까? 돈의 가치가 흔들릴 때 생기는 경제의 파장
1. 우리는 왜 물가에 민감할까?
마트에서 장을 보거나 외식할 때
“예전엔 5천 원이면 됐는데, 지금은 만 원도 부족하네?”
이런 경험, 누구나 있으실 겁니다.
✅ 이것이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반대로, 물가가 계속 내려가면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2.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지속해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 돈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뜻
→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재화·서비스의 양이 줄어듦
✅ 예: 커피 1잔이 2,000원이던 것이 3,000원이 되면 인플레이션 발생
3. 디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Deflation)**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 돈의 가치가 올라가고,
- 소비자 입장에서는 물건 값이 내려가 좋을 수 있지만,
- 장기적으로는 경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디플레이션은 경기 침체, 실업 증가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원인
● 인플레이션의 원인
구분설명예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상승 | 경기 회복기, 소비 증가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생산 비용이 올라서 가격 전가 | 원자재 가격 상승, 임금 인상 |
통화량 증가 | 돈이 많이 풀리면 그만큼 가치 하락 | 양적 완화, 저금리 정책 |
● 디플레이션의 원인
구분설명예시
수요 부족 | 소비·투자가 줄어들며 가격 하락 | 경기 침체, 실업 증가 |
공급 과잉 | 공급은 많은데 수요가 적음 | 기술 발달로 공급 증가 |
통화 긴축 | 금리 인상, 긴축 재정 | 중앙은행의 긴축정책 |
5. 인플레이션의 영향
측면영향
소비자 | 구매력 감소 → 생활비 부담 증가 |
저축자 | 실질 수익 감소 (돈 가치 하락) |
채무자 | 유리함 (같은 액수의 돈으로 갚음) |
기업 | 생산비 상승 → 가격 전가 시도 |
전체 경제 | 과도하면 불확실성 증가 → 투자 위축 가능성 |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의 징후일 수 있지만,
너무 높으면 ‘악성 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으로 변질될 수 있습니다.
✅ 예: 1920년대 독일, 2000년대 짐바브웨
6. 디플레이션의 영향
측면영향
소비자 | 물가 하락 기대 → 소비 지연 → 수요 위축 |
기업 | 수익 감소 → 투자 축소 → 고용 줄임 |
고용시장 | 실업 증가, 임금 하락 압력 |
전체 경제 | ‘디플레이션 악순환’ 발생 가능성 |
✅ 1990년대 이후 일본은 디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맞물린 "잃어버린 20년"을 겪었습니다.
7. 인플레이션은 얼마나 적당해야 할까?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문제입니다.
그래서 중앙은행은 일반적으로 2% 정도의 인플레이션을 적정 목표로 설정합니다.
구간해석
0% 이하 | 디플레이션 위험 |
1~2% | 이상적인 수준 |
3~5% | 경고 수준 |
5% 이상 | 고(高)인플레이션 가능성 |
8. 물가 측정 방법: CPI와 PPI
지표설명
소비자물가지수(CPI) |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 |
생산자물가지수(PPI) | 생산자가 출하할 때 기준 가격의 변동 |
✅ 일반적으로 CPI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측정하고,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활용됩니다.
9.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응
●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
수단예시
통화 긴축 | 기준금리 인상, 통화량 축소 |
재정 긴축 | 정부 지출 축소, 세금 인상 |
수입 확대 | 물가 안정용 비축물자 방출 등 |
● 디플레이션 대응 정책
수단예시
통화 완화 | 기준금리 인하, 양적 완화 |
재정 확대 | 공공투자, 소비쿠폰 등 |
소비 진작 | 세금 감면, 직접 현금 지원 등 |
✅ 정리: 물가 안정은 경제의 건강 지표다
-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돈의 가치 하락 → 과도하면 경제 불안
- 디플레이션: 물가 하락, 돈의 가치 상승 → 장기화되면 경기 침체
- 적절한 물가 상승률(약 2%)은 건강한 경제의 징표
- 물가 관리는 중앙은행과 정부의 핵심 역할
-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만큼 물가 흐름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
🔜 다음 글 예고: [㉗ 실업과 고용 – 일자리 문제는 왜 생길까?]
모두가 일하고 싶은데 왜 실업은 계속될까? 실업의 유형과 해법을 살펴보자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과 고용 – 일자리 문제는 왜 생길까? (0) | 2025.03.28 |
---|---|
경기 변동과 경제 성장의 이해 (0) | 2025.03.27 |
자본 시장과 이자율의 결정 (0) | 2025.03.27 |
노동 시장과 임금 결정의 원리 (0) | 2025.03.26 |
독점적 경쟁 시장의 기업 전략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