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블루밍포레 2025. 3. 27. 06:50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물가는 왜 오르거나 떨어질까? 돈의 가치가 흔들릴 때 생기는 경제의 파장


1. 우리는 왜 물가에 민감할까?

마트에서 장을 보거나 외식할 때
“예전엔 5천 원이면 됐는데, 지금은 만 원도 부족하네?”
이런 경험, 누구나 있으실 겁니다.

✅ 이것이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반대로, 물가가 계속 내려가면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2.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지속해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 돈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뜻
    →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재화·서비스의 양이 줄어듦

✅ 예: 커피 1잔이 2,000원이던 것이 3,000원이 되면 인플레이션 발생


3. 디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Deflation)**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 돈의 가치가 올라가고,
  • 소비자 입장에서는 물건 값이 내려가 좋을 수 있지만,
  • 장기적으로는 경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디플레이션은 경기 침체, 실업 증가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원인

● 인플레이션의 원인

구분설명예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상승 경기 회복기, 소비 증가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생산 비용이 올라서 가격 전가 원자재 가격 상승, 임금 인상
통화량 증가 돈이 많이 풀리면 그만큼 가치 하락 양적 완화, 저금리 정책

● 디플레이션의 원인

구분설명예시
수요 부족 소비·투자가 줄어들며 가격 하락 경기 침체, 실업 증가
공급 과잉 공급은 많은데 수요가 적음 기술 발달로 공급 증가
통화 긴축 금리 인상, 긴축 재정 중앙은행의 긴축정책

5. 인플레이션의 영향

측면영향
소비자 구매력 감소 → 생활비 부담 증가
저축자 실질 수익 감소 (돈 가치 하락)
채무자 유리함 (같은 액수의 돈으로 갚음)
기업 생산비 상승 → 가격 전가 시도
전체 경제 과도하면 불확실성 증가 → 투자 위축 가능성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의 징후일 수 있지만,
너무 높으면 ‘악성 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으로 변질될 수 있습니다.

✅ 예: 1920년대 독일, 2000년대 짐바브웨


6. 디플레이션의 영향

측면영향
소비자 물가 하락 기대 → 소비 지연 → 수요 위축
기업 수익 감소 → 투자 축소 → 고용 줄임
고용시장 실업 증가, 임금 하락 압력
전체 경제 ‘디플레이션 악순환’ 발생 가능성

✅ 1990년대 이후 일본은 디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맞물린 "잃어버린 20년"을 겪었습니다.


7. 인플레이션은 얼마나 적당해야 할까?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문제입니다.
그래서 중앙은행은 일반적으로 2% 정도의 인플레이션을 적정 목표로 설정합니다.

구간해석
0% 이하 디플레이션 위험
1~2% 이상적인 수준
3~5% 경고 수준
5% 이상 고(高)인플레이션 가능성

8. 물가 측정 방법: CPI와 PPI

지표설명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
생산자물가지수(PPI) 생산자가 출하할 때 기준 가격의 변동

✅ 일반적으로 CPI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측정하고,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활용됩니다.


9.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응

●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

수단예시
통화 긴축 기준금리 인상, 통화량 축소
재정 긴축 정부 지출 축소, 세금 인상
수입 확대 물가 안정용 비축물자 방출 등

● 디플레이션 대응 정책

수단예시
통화 완화 기준금리 인하, 양적 완화
재정 확대 공공투자, 소비쿠폰 등
소비 진작 세금 감면, 직접 현금 지원 등

✅ 정리: 물가 안정은 경제의 건강 지표다

  •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돈의 가치 하락 → 과도하면 경제 불안
  • 디플레이션: 물가 하락, 돈의 가치 상승 → 장기화되면 경기 침체
  • 적절한 물가 상승률(약 2%)은 건강한 경제의 징표
  • 물가 관리는 중앙은행과 정부의 핵심 역할
  •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만큼 물가 흐름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

🔜 다음 글 예고: [㉗ 실업과 고용 – 일자리 문제는 왜 생길까?]

모두가 일하고 싶은데 왜 실업은 계속될까? 실업의 유형과 해법을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