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실업과 고용 – 일자리 문제는 왜 생길까?

블루밍포레 2025. 3. 28. 06:53

실업과 고용

– 모두가 일하고 싶은데 왜 실업은 계속될까?


1. 실업은 왜 경제의 가장 민감한 문제일까?

경제 지표 중에서도 **실업률(unemployment rate)**은 사람들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민감한 지표입니다.

  • 직장을 잃으면 소득이 끊기고
  • 소비가 줄어들고,
  • 사회 불안이 커지고,
  • 개인의 자존감과 행복감도 영향을 받습니다.

✅ 그래서 정부는 “경제 성장” 못지않게 **“일자리 창출”**을 중요한 목표로 삼습니다.


2. 실업이란 무엇인가?

**실업(unemployment)**이란,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상태를 말합니다.

공식 정의:
“만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 가운데,
일하지 않고 있으면서도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사람


3. 실업률과 고용률의 의미

지표정의해석
실업률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낮을수록 고용 상태 양호
고용률 (취업자 ÷ 생산가능인구) × 100 높을수록 경제활동 활발
  • 실업률이 낮아진다고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구직을 포기한 사람이 많아져도 실업률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 그래서 고용률도 함께 살펴보아야 노동시장 전반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실업의 종류

실업은 다양한 원인에 따라 나뉘며, 해석 방식도 달라집니다.

● ① 마찰적 실업 (Frictional Unemployment)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까지의 일시적 실업
예: 졸업 후 구직 중, 이직 준비 중

→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실업


● ② 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yment)

기술 변화나 산업 구조 변화로 인해 기존 일자리가 사라지는 실업

예: 자동화로 인한 단순노동직 감소, 제조업의 해외 이전

노동자의 능력과 시장의 수요가 불일치하는 상태


● ③ 경기적 실업 (Cyclical Unemployment)

경기 침체로 인해 발생하는 실업

예: 불황기에 기업들이 생산을 줄이고 인력 감축

→ 정부의 재정·통화정책으로 대응 가능


● ④ 계절적 실업 (Seasonal Unemployment)

계절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실업

예: 농촌의 수확철 이후, 스키장 직원의 비시즌 해고 등

→ 예측 가능한 일시적 실업


5. 자연 실업률이란?

어떤 경제라도 완전고용 상태에서조차 일정 수준의 실업은 존재합니다.
이것이 바로 **자연 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oyment)**입니다.

  • 마찰적 + 구조적 실업으로 구성
  • 완전히 0%로 만들 수는 없음
  • 일반적으로 4~5% 수준이 이상적이라 여겨짐

✅ 목표는 실업률을 자연 실업률 수준으로 낮추는 것!


6. 실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영역영향
개인 소득 상실, 소비 위축, 스트레스 증가
기업 내수 감소 → 매출 하락
정부 실업급여 지출 증가, 세수 감소
사회 전체 범죄 증가, 사회 갈등, 출산율 하락 등 장기적 문제

7. 실업과 경제 순환의 관계

실업은 경기 변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 호황기: 고용 증가, 실업 감소
  • 불황기: 기업 활동 위축 → 고용 감소 → 실업 증가

✅ 실업률은 후행지표로서, 경기 회복 이후에도 한동안 높게 유지될 수 있음


8. 정부의 실업 대책

정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업 문제에 대응합니다.

대책 유형방법
재정정책 공공근로, 인프라 투자, 일자리 창출 사업
교육·훈련 직업 교육, 기술 재교육, 인턴제
노동시장 유연화 정규직·비정규직 간 전환 지원, 고용 형태 다양화
고용서비스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취업상담소 운영
실업보험 일정 기간 동안 구직자에게 소득 보전

✅ 단순히 일자리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노동의 질과 직무 매칭이 중요합니다.


9. 미래의 일자리, 새로운 도전

기술 발전은 일자리를 없애기도 하지만,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 AI, 로봇, 빅데이터 → 일부 직업은 사라지지만
  • 디지털 전문가, 플랫폼 노동자, 창작직업 등은 증가 중

✅ 정부와 개인은 변화에 적응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평생교육, 유연한 커리어 전환, 노동시장 정보 강화가 중요해지는 이유입니다.


✅ 정리: 실업은 단순한 ‘일자리 부족’의 문제가 아니다

  • 실업은 개인, 사회, 국가에 모두 영향을 주는 복합적 현상
  • 마찰적, 구조적, 경기적, 계절적 실업으로 구분
  • 완전고용 = 실업률 0%가 아님 → 자연 실업률 수준이 목표
  • 정부는 재정·교육·제도적 접근으로 실업에 대응
  • 미래에는 기술 변화와 함께 노동시장도 재편될 것
    유연하고 지속 가능한 고용 전략이 요구됨

🔜 다음 글 예고: [㉘ 국제 무역과 비교우위 이론]

나라와 나라도 서로 거래한다! 무역의 이유와 원리를 이해해보자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과 국제금융  (0) 2025.03.28
국제 무역과 비교우위 이론  (0) 2025.03.28
경기 변동과 경제 성장의 이해  (0) 2025.03.27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0) 2025.03.27
자본 시장과 이자율의 결정  (0) 2025.03.27